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 Foundation/Network System

[CS 전공지식기초] 2.1 네트워크의기초

by 담백로봇 2022. 6. 30.

아.. 회사 로봇들 무선통신이 너무 느리다.. 네트워크 개념을 모르니 개선할 수 있는 점을 못찾겠다.

공부공부!

 

2.1 네트워크의 기초

네트워크란  node 와 link가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지않는 집합체.

 

2.1.1 처리량과 지연시간

처리량(throughput)이란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

 

단위로는 bps(bit per second)이고 초당 전송 또는 수신 되는 데이터량.

 

대역폭은은 주어진 시간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있는 최대 비트수라고함. 

 

*근데 보통 2G ,5G 통신망은 뭘까. 맥고TV에서 알아보니 주파수 높아진다고 통신속도가 좋아지는것은 아니라고함. 

 

주파수 특성상 높아지면 회절 특성이 약해져서 먼곳 구석구석까지 잘보낼 수 없음. 

 

고로  대역폭!인 주파수 대역이 높거나 (넓어야) 통신속도 상승.

 

Why? 주파수 대역이 넓으면 더 많이 구분점을 만들 수 있어 초당 보낼 수 있는 데이터가 더 많아짐. (MOXA....)

 

 

2.1.2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병목현상

<네트워크 토폴로지 - wiki>

네트워크가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에대한 연결 형태.

 

링형, 버스형,스타형,메시형 등등 여러 형태가있고 각각의 장단점음.

 

병목현상을 찾을때 중요한 기준이 된다고함!

 

2.1.4 네트워크 성능분석 명령어

1. Ping(Packet INternet Groper) :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려는 대상 노드를 향해 일정 크기의 패킷을 전송하는 명령어.

 

이를 통해 해당 노드의 수신상태와 도달하기 까지의 시간을 알 수 있다. 아하!

 

핑은 ICMP 프로토콜(?) 를 쓴다함.

출처 - 아는만큼 보인다

 

2. Netstat: 접속되어 있는 서비스들의 네트워크 상태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데 주로

 

서비스의 포트(?) 가 열려있는지 확일할때 쓴다고함 

 

3. nslook : DNS(?) 관련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쓰는 명령어. 특정 도메인에 매핑된 IP확인할때 사용함.

오오오!

4. tracert(윈도우) traceroute(linux) :목적지 노드까지 네트워크 경로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목적지 구간들중 어느

 

구간에서 응답이 느려지는지 확인가능!!.

 

<참고: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댓글